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25-227호
2025년 에너지국제공동R&D 신규지원 대상과제 공고
에너지분야 국제공동연구사업의 2025년 신규지원 대상 연구개발과제를 다음과 같이 공고하오니 해당 기술개발과제를 수행하고자 하는 자는 관련규정에 따라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.
1. 사업개요
1-1. 사업목적
에너지 국제공동연구를 통한 기술협력 활성화로 국가 에너지기술 경쟁력 제고와 에너지안보 확립 및 에너지 신시장 창출에 기여
1-2. 사업내용
에너지국제공동연구
(에너지기술선도 국제공동연구) 선진 연구기관과 공동연구를 통해 선도기술을 조기에 획득하기 위한 국제공동연구
(글로벌시장개척 국제공동연구) 국내 수출 유망기술의 현지 맞춤형 기술개발과 실증R&D를 통해 국내 기술의 해외시장 진출을 촉진하기 위한 국제공동연구
(국제공동연구센터) 해외 최고수준의 연구기관과 국내 우수 연구기관간 중장기적 공동연구 협력체계 구축을 통한 세계 최고·최초에 도전하는 고난도 R&D
글로벌 리더십 확보를 위한 대규모·차세대 CCUS 국제공동연구 프로젝트
CCUS 기술 상용화 및 CCS 저장소 개발 및 확보의 기술지원을 위해 CCUS 선진국, 실증 프로젝트 추진국과의 협력연구로 기술 다변화 및 고도화 추진
1-3. 지원분야, 연구개발비 지원규모 및 연구개발기간 등
※ 평가결과, 기술정책방향 및 예산규모 등에 따라 지원 예산, 수행 기간 변동 가능
※ 에너지국제공동연구사업은 “일괄협약”(총 연구개발기간에 대한 일괄 체결 협약) 체결 원칙
※ 연차별 수행기간은 “신청용 연구개발계획서의 수행기간(연차) 산정”을 참조
품목지정 국제공동연구
품목지정 국제공동연구
내역 사업 |
기술 분야 |
과제명 |
협력 국가 |
과제유형 |
총 수행 기간 (개월) |
'25년 정부 출연금 (안) |
총 정부 출연금(안) |
주관 기관 |
기업 참여 |
해외 기관 |
기술료 |
과제수 |
안전 과제 여부 |
다운 로드 |
공모 구분 |
기술 성격 |
기술 선도 |
수소 |
실시간 열화진단 기반 고내구 SOEC 스택 개발 |
기술 선도국 |
품목 지정 |
혁신 제품 |
36 이내 |
5.4억원 내외 |
32억원 내외 |
제한 없음 |
필수 참여 |
필수 참여 |
징수 |
1개 |
ㅇ |
 |
수소 |
항공용 초경량 액체수소 연료저장시스템 제작 기술 개발 |
기술 선도국 |
품목 지정 |
혁신 제품 |
36 이내 |
5.4억원 내외 |
32억원 내외 |
제한 없음 |
필수 참여 |
필수 참여 |
징수 |
1개 |
ㅇ |
 |
전력·ESS |
50kWh급 고안전성 리튬-황 전지 ESS 요소 및 운영기술 개발 |
기술 선도국 |
품목 지정 |
혁신 제품 |
36 이내 |
5.4억원 내외 |
32억원 내외 |
제한 없음 |
필수 참여 |
필수 참여 |
징수 |
1개 |
ㅇ |
 |
효율 향상 |
에너지 수급 안정성 확보를 위한 스마트 에너지 서비스 GEB 시스템 기술개발 |
기술 선도국 |
품목 지정 |
혁신 제품 |
36 이내 |
5.3억원 내외 |
32억원 내외 |
제한 없음 |
필수 참여 |
필수 참여 |
징수 |
1개 |
- |
 |
시장 개척 |
전력 계통 |
장주기 비리튬계 BESS의 확장형 단위 모듈 기술 개발 및 실증 |
시장진출 대상국 |
품목 지정 |
혁신 제품 |
36 이내 |
6.0억원 내외 |
36억원 내외 |
중소· 중견 |
필수 참여 |
필수 참여 |
징수 |
1개 |
ㅇ |
 |
효율 향상 |
배전용 전압제어 기반 수용가 전력·부하 통합운영 기술 개발 및 해외 현지실증 |
시장진출 대상국 |
품목 지정 |
혁신 제품 |
36 이내 |
6.0억원 내외 |
36억원 내외 |
중소· 중견 |
필수 참여 |
필수 참여 |
징수 |
1개 |
- |
 |
CCUS |
CCUS |
이산화탄소 저장소 다중 스케일 유동 특성화 및 모델링 기술 개발 |
기술 선도국 |
품목 지정 |
혁신 제품 |
42 이내 |
6.0억원 내외 |
35억원 내외 |
제한 없음 |
필수 참여 |
필수 참여 |
징수 |
1개 |
- |
 |
공기 중 직접탄소포집(DAC)을 위한 글로벌 혁신소재 및 공정 개발 |
기술 선도국 |
품목 지정 |
원천 기술 |
42 이내 |
6.2억원 내외 |
37억원 내외 |
제한 없음 |
필수 참여 |
필수 참여 |
징수 |
1개 |
- |
 |
CCS 통합 시스템 네트워크 최적화 및 안전성 확보 기술 개발 |
저장소보유·
운영국 |
품목 지정 |
원천 기술 |
42 이내 |
6.2억원 내외 |
37억원 내외 |
기업 |
필수 참여 |
필수 참여 |
징수 |
1개 |
- |
 |
동남아 CCS 저장소 및 운영기술 개발 |
저장소보유·
운영국 |
품목 지정 |
혁신 제품 |
42 이내 |
6.6억원 내외 |
39억원 내외 |
기업 |
필수 참여 |
필수 참여 |
징수 |
1개 |
- |
 |
※ 품목별 세부내용은 별첨의 기술개요서 참조
국제공동연구센터
국제공동연구센터
내역사업 |
공모방식 |
협력국가 |
개 요 |
지원분야 |
지원과제수 |
다운 로드 |
국제공동 연구센터 |
분야지정 자유공모 |
제한없음 |
지원규모 : 1개 센터 당 총괄과제 1개, 세부과제 5개 총 150억원 내외(1차년도 18.5억원 내외)
수행기간 : 60개월 이내
주관기관 : 연구기관 (자격조건 내용 참조)
기 술 료 : 징수
과제유형 : 원천기술형/혁신제품형(선택)
해외소재 연구기관(국공립, 최우수) 참여 필수
|
수소, 태양광, 에너지저장, 무탄소발전 (최대 2개) |
2개 센터 (8개 과제) |
 |
한-스페인 국제공동연구 : 정부 간 협력 합의를 기반으로 국내 기관이 스페인 기관과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해당국과 공동 승인한 과제를 대상으로 자국 기관에 자금 지원
국내 컨소시엄은 한국 정부가 스페인 컨소시엄은 스페인 산업기술개발센터(CDTI)가 각각 지원
※ 국내 기관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(KETEP)에, 스페인 기관은 스페인 산업기술개발센터(CDTI)에서 안내하는 접수처로 각각의 접수 마감시한 전에 동일 과제를 신청하여야 접수가 인정 됨
※ 한국 또는 스페인 한쪽에만 과제를 신청할 경우 사전제외 되므로 한국과 스페인 양측 모두 각국의 마감시한에 맞춰 접수완료 요망
한-스페인 국제공동연구
내역사업 |
공모방식 |
협력국가 |
개 요 |
지원분야 |
지원과제수 |
기술선도 (공동펀딩) |
분야지정 (혁신제품형) |
스페인 |
지원규모 : 총 15억원 내외(1차년도 2.5억원 내외)
수행기간 : 36개월 이내
주관기관 : 제한 없음(기업 참여 필수)
스페인 기관(기업·대학·연구기관 등) 참여 필수
기 술 료 : 징수
과제유형 : 혁신제품형(TRL: 시작 3, 종료 6~7)
|
수소· 연료전지, ESS, 풍력 |
1개 |
한-노르웨이 국제공동연구
한-노르웨이 국제공동연구
내역사업 |
공모방식 |
협력국가 |
개 요 |
지원분야 |
지원과제수 |
기술선도 |
분야지정 (혁신제품형) |
노르웨이 |
지원규모 : 총 15억원 내외(1차년도 2.5억원 내외)
수행기간 : 36개월 이내
주관기관 : 제한 없음(기업참여 필수)
기 술 료 : 징수
과제유형 : 혁신제품형
노르웨이 소재 기관(기업·대학·연구기관) 참여 필수
|
수소 |
1개 |
공모분야 기술을 대상으로 한 자유공모이나, 품목지정 국제공동연구 공고 과제와 동일한 기술은 지원대상에서 제외
2. 신청방법, 신청서 제출기한 및 접수처
신청방법 및 제출기한
신청방법, 신청서 제출기한 및 접수처
구분 |
내용 |
신청방법 |
계획서(필수서류) 및 첨부서류 온라인 일괄 접수
* 오프라인(방문) 서류제출 불필요
|
공고기간 |
2025. 3. 11.(화) ~ 4. 28.(월) 18시까지 (품목지정)
2025. 3. 11.(화) ~ 4. 24.(목) 18시까지 (한-스페인)
2025. 3. 11.(화) ~ 4. 28.(월) 18시까지 (한-노르웨이)
2025. 3. 11.(화) ~ 5. 12.(월) 18시까지 (국제공동연구센터)
|
신청 기간 및 관련 양식 교부 |
2025. 3. 18.(화) ~ 4. 28.(월) 18시까지 (품목지정)
2025. 3. 18.(화) ~ 4. 24.(목) 18시까지 (한-스페인)
2025. 3. 18.(화) ~ 4. 28.(월) 18시까지 (한-노르웨이)
2025. 3. 18.(화) ~ 5. 12.(월) 18시까지 (국제공동연구센터)
* 전산등록과 동시에 첨부 서류를 온라인으로 접수 * 접수마감시간 엄수 요망
|
양식교부 및 안내
|
※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(IRIS)을 통한 과제신청을 위해 사전에 반드시‘접수전 필수 이행사항’을 조치하여야 함(첨부 매뉴얼 참조)
필수이행사항 : 이용자 회원가입 및 연구자전환, 기관대표자 등록 및 기관총괄담당자 신청, 기관 당담자 권한 부여 및 주관연구기관 승인권한 확인 등
IRIS상 연구개발기관의 대표자는 해당기관 사업자등록증상 대표자 성명과 일치하여야 하며, 접수마감 시간까지 IRIS 기관대표자 신용정보 조회 동의를 완료하여야 함(확약서 제출 필수)
전산접수 시 기관대표자 신용정보 조회 미동의 시 연구개발계획서 최종제출 불가
※ 반드시 접수마감 시간 전 까지 제출이 완료되어야하며, 마감시간(18:00)이 지나면 접수시스템이 자동으로 차단되어 접수 불가 (입력‧작성 중인 연구개발계획서도 접수 불가)
※ 회원가입, 연구개발과제 전산정보 입력 및 제출서류 업로드 등에 최소 하루이상 소요 될 수 있으므로 마감일 2~3일 전에 과제접수가 완료 될 수 있도록 사전 등록 권장
※ 접수된 서류 및 연구개발계획서 등이 허위, 위․변조, 그 밖의 방법으로 부정하게 작성된 경우 관련 규정에 의거, 선정 취소 및 협약해약 등 불이익 조치함
3. 문의처 등
과제 접수 및 평가 관련 문의
전산 등록 관련 문의 : IRIS 고객센터 (1877-2041, 042-862-1500)
과제 접수 및 평가 관련 문의
과제 접수 및 평가 관련 문의
구분 |
소속 |
담당자 |
연락처 |
E-mail |
효율향상 |
KETEP |
이정은 전임 |
02-3469-8435 |
jungeun0405@ketep.re.kr |
수소 |
KETEP |
백종현 전임 |
02-3469-8438 |
baek@ketep.re.kr |
전력·ESS |
KETEP |
김하예 전임 |
02-3469-8436 |
hamoyeah@ketep.re.kr |
CCUS, 공동연구센터 |
KETEP |
성태홍 선임 |
02-3469-8434 |
thsung@ketep.re.kr |
한-노르웨이 |
KETEP |
안준형 책임 |
02-3469-8431 |
ahnjoonhyung@ketep.re.kr |
한-스페인 |
KETEP |
안준형 책임 |
02-3469-8431 |
ahnjoonhyung@ketep.re.kr |
Korea (CDTI) |
Mr. Jordi Espluga, Representative in South Korea |
070-4117-0888 |
jordi.espluga@cdti.es |
Korea (CDTI) |
Ms. Merced Perez, KSEI Program Coordinator |
+34 91 581 56 07 |
merced.perez@cdti.es |
4. 연구개발계획서 작성참고 붙임자료 안내
붙임1. 제출 서류 사항
붙임2. 연구개발비 산정 시 유의 사항
붙임3. 기타 유의 사항
붙임4. 안전관리형 연구개발과제 주요 안내 사항
붙임5. R&D 자율성트랙 제도 안내
[첨부파일]